본문 바로가기
어학/일본문화 어학

일본 전기차 산업 - 하이브리드 산업

by 밈코인공부방 2023. 2. 14.
반응형

일본은 여전히 자동차산업에서 강국입니다.

하지만 현재 자동차산업이 전기차로 변환하는 과정에서는 무슨 이유에서인지 그 변화가 다른 나라에 비해 늦는 것 같고 이런 것은 수치를 통해서도 보여줍니다.

2022년 미국내 일본자동차들의 신차 판매량이 도요타를 비롯해 모두 감소했다고 합니다.
이유에 대해서는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전기차 판매량이 다른 나라의 자동차회사보다 크게 늘어나지 않은게 가장 컸다고 하네요.
이렇게 일본 자동차업계도 당연히 앞으로의 대세는 전기차라는 것을 알고는 있지만 전기차에 관해서 다른 나라에 비해 부진한 것에는 크게 두 가지 이유가 있다고 합니다.


첫번째로는 하이브리드차에서 성공했기 때문이라는 분석입니다.
하이브리드차에서 선두를 달리고 있기 때문에 전환이 늦었다는 것입니다.

(하이브리드 뜻은 전기차와 내연차의 동력원을 모두 가지고 있는 차량을 의미합니다.

기본적으로 각각 동력원의 효율을 생각해서 시동 및 저속 구간에서는 전기 모터를 사용하고 엔진 효율이 높은 정속 주행 구간에서는 주로 엔진을 사용하여 운행하는 차량입니다.)
전기차를 만드는 기술을 충분히 갖췄을 것으로 예상되는 일본 자동차업계이지만 기존의 성공으로 인해 안주해버렸다는 것이죠.
이는 다른 분야에서도 그렇다고 합니다.
이미 많은 산업을 통해 수많은 부를 축적하였고 다른 나라의 부동산들을 많이 매집했기 때문에 변화를 안하고도 버틸 수 있는 힘이 있다는 것이죠.
일본이 디지털로의 변화가 늦는 것을 이 이유로도 설명을 합니다.


두번째 이유로는 내연기관의 부품회사를 만드는 중소기업에게 시간을 주기위해서라는 분석입니다.
일본이 중소 제조업 기반의 나라이고 이런 자동차부품을 장인정신으로 잘 만드는 것이 일본에 대한 기본적인 이미지임을 생각할 때 충분히 이해가 가는 설명입니다.

현재 자동차 산업 중 전기차만 따로 보게 되면 기존 상황과 많이 다른 것 같습니다.
자동차 산업에서 상대적으로 일본과 한국에 뒤쳐졌던 중국이 치고 나가고 있고 한국도 열심히 그 변화를 따라가고 있습니다.
한국입장에서는 일본이 하이브리드차를 고집해준다면 오히려 고마운 상황이긴하지만 일본이 다시 전기차에 박차를 가하게 되면 중국과 일본 사이에 또 끼게 될 수도 있을 것 같네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