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비지니스/IT 상식25

홍콩 사이버포트 미국의 실리콘밸리 흔히들 각 국가에서 IT 등의 첨단 산업이 밀집해 있는 지역을 그 나라의 실리콘밸리라고 합니다. 우리나라에도 그런 곳이 있고 다른 나라에서도 당연히 그런 지역이 있습니다. 홍콩에서는 이러한 역할을 하는 곳이 사이버포트라는 곳인데 많은 지원이 집중되어 관련된 산업이 모이고 있는 곳입니다. 홍콩의 실리콘밸리 사이버포트 사이버포트(Cyberport)는 홍콩에서 중요한 정보 기술(IT) 및 디지털 콘텐츠의 허브로서 현지 IT 기업들이 글로벌 시장에서 기술 역량을 선보이고 지역의 벤처 캐피털 환경의 성장을 촉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사이버포트 산업 단지는 홍콩의 디지털 산업을 위한 중추적인 공간으로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기술 기업들이 모여 서로 협력하고 성장할 수 있는 이상적인 환경을 제공합니다. 사이버포.. 2024. 2. 18.
PPT 글상자를 크게 했더니 다시 예전 크기로 돌아갈때 PPT를 하다보면 정말 사소한 것 같은데도 잘 안되어서 시간을 잡아먹는 경우가 많습니다. 도형을 배치하고 글씨를 그 안에 넣는 것도 그런 일 중 하나인데 특히 아래와 같이 글씨가 상자 안에 딱 맞게 있는 경우 상자를 마우스로 잡아당겨 늘리면 다시 원위치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왼쪽이 그 경우인데 나는 주변 틀을 더 크게 해서 가나다라마바 밑에 그림을 넣고 싶은데 왼쪽처럼 상자가 글씨크기대로 맞춰져 버리면 난감합니다. 급한대로 바 글자에서 엔터를 쳐서 아래 빈칸을 만들어서 넓히는 방법도 있지만 매번 그렇게 하기에는 뭔가 방법이 있을 것 같아 찜찜하지만 뭐 그렇게 불편하지 않으니 계속 찜찜한 채로 넘어가게 됩니다. 이때 다음의 방법을 사용하면 칸을 원하는 크기만큼 넓힐 수 있습니다. 먼저 해당 도형을 선택한 .. 2024. 2. 14.
가챠의 원래 뜻 게임에서 가챠는 어떤 영향을 주는지 최근 한국에서 MMORPG 게임이 출시할 때마다 우리 게임에는 가챠 시스템이 없다라는 말을 많이 합니다. 하지만 실제로 오픈해보면 대부분 가챠 시스템이 있다고 소비자들의 비판을 받죠. 여기서 게임을 잘 모르는 분들은 가챠가 무엇인지 왜 게이머들이 가챠를 싫어하는지 잘 모를 수도 있어서 한번 포스팅해보겠습니다. 가챠 뜻 가챠(gacha)의 원래 뜻은 일본의 자동판매기에서 작은 장난감이나 피규어 등을 무작위로 판매하는 방식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이 자동판매기들은 장난감이나 피규어가 기계 안에서 뒤섞이는 소리를 따와 가챠폰이라고 불리게 되었습니다. 가샤폰은 먼저 사용된 단어인데 나중에 가챠폰으로 더 많이 불리우게 되었고 둘다 같은 뜻입니다. 게임에서의 가챠 시스템 가챠라는 개념이 게임에 도입된 것은 플레이어들이.. 2024. 2. 9.
C타입과 라이트닝 차이 최근 애플에서 발표한 아이폰15에서 충전잭을 기존 라이트닝에서 C타입으로 변경함으로서 C타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사실 다들 아시다시피 C타입은 갤럭시 등에서 많이 사용되는 호환잭이며 새삼스러울 것은 없을 것 같습니다. 여기서는 C타입과 라이트닝 차이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C타입과 라이트닝 차이 개방성과 소유성 측면에서 C타입은 개방형 표준이며 여러 제조업체와 기기에서 사용됩니다. 이는 많은 노트북, 스마트폰, 태블릿, 주변 장치 등 다양한 기기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반면 라이트닝은 Apple이 소유하고 있는 특허 기술로, Apple의 제품에만 사용됩니다. 즉, iPhone, iPad 및 iPod와 같은 Apple 기기에만 적용됩니다. 2) C타입과 라이트닝 물리적.. 2024. 2. 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