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비지니스/ESG3

CSV 뜻 CSV는 Creating Shared Value의 약자입니다. 공통된 가치를 창출한다는 것으로 기업이 해당 기업만의 이윤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으로 공통된 이윤을 추구한다는 의미입니다. 즉 이윤활동과 사회공헌활동이 따로 따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기업 이윤활동과 사회적 가치 창출을 동시에 추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1) CSR CSV 차이 최근 ESG라는 용어가 대세이긴하지만 CSR이란 용어를 쓰는 회사들도 있습니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라는 의미이죠. CSR은 기업이 사회로부터 돈을 벌었으니 이를 다시 사회에 환원하는 개념입니다. 반면에 CSV는 기업이 돈을 벌려면 사회가 건전해야하기 때문에 돈을 버는 것과 사회의 건전성이 동시에 추구되어야한다는 의미입니다. CSR이 기업 주도로 봉사의 개념이.. 2023. 3. 22.
CSR 뜻 최근 ESG라는 용어가 대세이긴한데 CSR이란 용어도 가끔 보게 됩니다. ESG와 비슷한 것 같은데 CSR 뜻이 무엇이고 ESG와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CSR 뜻 CSR은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의 약자로 번역하자면 기업의 사회적 책임입니다. 사회적 책임은 여러가지 의미가 있을 수 있는데 여기서는 지역사회와 공생한다는 윤리적 의미이고 흔히 기부활동, 봉사활동, 환경보호 등의 활동을 의미합니다. 2) ESG CSR 차이 얼핏보면 CSR은 ESG와 상당히 비슷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환경과 사회부분은 어느 정도 공통 요소라고 보이며 단어만 놓고 보았을때는 지배구조가 빠진 ESG처럼 보입니다. 굳이 ESG와 CSR의 차이점을 구별하자면 CSR은 기.. 2023. 3. 14.
택소노미 뜻 이제 ESG 경영이라는 말도 우리에게 친숙해진지 오래된 것 같습니다. 하지만 아직 많은 회사에서 관심을 갖기에는 모르는 부분도 많고 현재도 대기업 위주로 진행되는 부분이 많은 것 같습니다. ESG를 할만한 여력이 없는 회사가 더 많다는 뜻이겠죠. 하지만 앞으로 ESG는 더 강화될 수 밖에 없고 어느 순간 필수가 될수도 있기 때문에 회사는 준비가 안되더라도 개인은 준비를 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이러한 ESG 용어 중에 최근에 택소노미라는 말이 자주 등장하는 것 같습니다. 그럼 택소노미란 무엇일까요? 1) 택소노미 뜻 택소노미는 영어로 Taxonomy라고 쓰며 한국어로 번역하면 분류체계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분류체계는 ESG를 위한 근간을 이루게 됩니다. 왜냐하면 이러한 택소노미를 통해.. 2023. 2. 2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