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어학/영어

회사와 관련된 BEP, 브레이크다운 뜻, break 동사

by 밈코인공부방 2022. 11. 12.
반응형

회사와 관련된 표현 중에 break 동사가 들어가는 것이 은근히 많아서 한번 정리해보았습니다.

break의 가장 대표적인 뜻은 부수다인데 회사에서는 이 뜻 외에 다른 뜻으로 은근히 많이 쓰입니다.

 

1) BEP, Break Even Point

회사 생활하다보면 BEP(비이피)를 맞춰야한다, BEP를 구하라 등의 이야기를 들을 때가 있습니다.

부서에 따라 다르겠지만 마케팅이나 영업, 기획 등의 부서에서는 한번 쯤은 들어봤을 것 입니다.

여기서 BEP 뜻은 한국어로 해석하면 손익분기점을 의미합니다.

어떤 사업이나 프로젝트를 진행하게 되면 처음에는 비용이 더 많이 투입되기 때문에 그 기획이나 프로젝트, 또는 사업이 적자인 상태로 초반을 시작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이때 처음으로 적자에서 흑자로 돌아서는 부분을 BEP 라고 합니다.

even을 break하는 point라는 뜻이죠.

2) Break down

이 말도 자료분석을 주로 하는 부서에서 많이 들어봤을 것입니다.

어떤 항목을 브레이크 다운해봐.

이런 식으로 회사에서는 많이 사용하는 용어입니다.

브레이크다운은 어떤 자료를 더 깊이 분해하여 분석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보통 자료에는 단계 또는 깊이라는 층이 있는데 이를 더 분해해나가는 작업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사람이라고 하면 그 밑의 단계는 남자와 여자가 있을 수 있고 남자 중에 연령대별로 더 들어갈 수 있을 것입니다.

어쨌든 분석 많이 해보신 분들은 하루에도 몇번씩 브레이크다운이라는 말을 하기도 하고 듣기도 할 텐데요.

여기서도 부서지다라는 의미 생각없이 break라는 용어를 쓰게 됩니다.

 

3) break in

이 말은 한국어로 쓰지는 않는데 신입을 길들이다, 신발이나 청바지 등의 길을 들이다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의외로 많이 쓰는 숙어인 것 같아서 잘 알아두면 좋을 것 같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