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어학/영어

조동사, 과거분사를 이용한 표현, You shouldn't have.

by 밈코인공부방 2022. 11. 9.
반응형

영어를 공부하다보면 조동사와 과거분사는 문법할 때 많이 배웁니다.

하지만 이렇게 문법으로 배운 것을 생활에서 사용하는 것은 다른 문법에 대해 어려운 것이 사실입니다.

문법에서는 명확히 나누지만 문맥에서는 애매한 경우도 많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외국어로 영어를 배우는 입장에서는 많은 문장을 외워야할 것 같습니다.

간단한 문장으로 많은 의미를 가진 표현 중에 

You shouldn't have. 가 있습니다.

문법적으로 해석을 해보면 너는 그렇게 하지 말았어야 한다라는 뜻이 됩니다.

여기서 should는 조동사이고 have 뒤에 과거분사가 나오는 구조인데 과거분사는 생략되었다고 보시면 됩니다.

하지만 이 뜻을 이렇게 그렇게 하지 말았어야한다라고 한다면 어색해질 상황이 많습니다.

이 문장은 이렇게 안하셔도 되는데, 더 나아가 뭘 이런걸. 

이 정도의 뉘앙스로 해석이 되는 것이 자연스러울 것 같습니다.

어떤 사람이 뭔가 주려고 하거나 할때 

You shouldn't have. 라고 하는 것이 자연스러운 상황이고 이럴때는 앞에서 이야기한 것처럼 이러시지 않아도 되는데요.

이런 식으로 해석이 됩니다.

당연히 호의를 거절하기 보다는 미안하면서 받아들이는 상황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만약 한국어를 번역하여 You don't have to do that.

이라고 하면 한국어 해석은 비슷하게 되겠지만 You shouldn't have. 가 가진 뉘앙스는 살리지 못하고 오히려 거절의 의미로 느껴질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따라서 이렇게 You shouldn't have. 라는 표현을 외워두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간단하기도 하고 지금 이 글을 읽으시면서 외운다고 하더라도 전혀 무리가 없을 것 같습니다.

 

반응형